본문 바로가기

Domain

국제 도메인 2탄 - TLD, gTLD, nTLD, ccTLD ?

< 서론 >
1탄에서 ICANN이 하는 역활과 그에 대한 내용을 간략하게 확인 하였습니다. 그럼 거기서 나온 TLD라는게 궁금해 질 것입니다. 1탄의 참조에 간략하게 적어놓은것 처럼 최상위 도메인을 나타냅니다. 단순히 최상위 도메인이라고만 알고 넘어가면 너무 간단하겠지만, 최상위 도메인은 다시 2개의 구성으로 쪼갤 수 있습니다. 그에 대한 내용을 아래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본론 >
최상위 도메인(TLD : Top Level Domain)은 gTLD와 nTLD로 구분됩니다.
일반 최상위 도메인(gTLD : generic Top Level Domain)은 인터넷 초창기 부터 사용되어온 7개의 도메인을 지칭합니다.

- com :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이나 회사
- edu : 학위를 수여하는 교육 기관
- net : 네트워크에 관련된 기관
- org : 비영리 목적의 기관이나 단체
- int : 유엔등의 국제기관
- gov : 미국연방정부 관련 기관
- mil : 미국연방정부 군사기관

gov, mil, edu은 미국내에 있는 기관만이 등록하여 사용 가능하며, int는 유엔 등 국제기구가 등록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초기에 사용된 7개의 도메인에 2000년 10월 17일 ICANN에서 7개의 도메인을 새로이 추가하였습니다.

- biz : 기업
- name : 개인들이 사용
- info : 종합적으로 사용
- pro : 전문가
- museum : 박물관
- coop : 협회나 조합
- aero : 항공사 전용

현재 운영되고 있는 일반 최상위 도메인(gTLD)는 총 14개 이며, 차후 ICANN에서 일반 최상위 도메인이 포화가 된다면 2000년에 발표한 것과 같이 새로운 일반 최상위 도메인을 발표 할 것입니다.

국가 최상위 도메인(nTLD : national Top Level Domain)은 gTLD와 함께 TLD의 2개 분류에 속합니다. 다른지칭으로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ccTLD : country code Top Level Domain)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한국의 경우에는 .KR, 일본의 경우에는 .JP입니다.
국가 최상위 도메인(이하 국가도메인)은 .KR이나 .JP와 같이 각 국가를 구분하는 1단계와 co(기업 기관), ac(교육기관), go(정부기관), or(비영리기관과 단체), ne(네트워크), pe(개인) 등과 같이 해당 도메인의 성격으로 구분한 2단계 그리고 상호명 또는 상표명을 자유롭게 표현한 3단계로 구분됩니다.

예를 들어 direct.co.kr을 보면 Direct는 해당 회사의 상호 또는 상표명으로 3단계이며, co는 해당 도메인이 기업의 성격을 띄고 있음을 알려주는 2단계, KR은 해당 도메인이 대한민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도메인임을 알려주게 됩니다.

현재 .KR의 경우 한국인터넷진흥원(NIDA)에서 관리를 하고 있으며, 등록업체는 20개 기업에서 등록을 할 수 있으며, 2단계 KR 도메인 등록을 약 7월 말에서 8월사이에 시행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이후부터는 '상호명 또는 상표명.KR' 도메인을 등록해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 참조 >
http://domain.nic.or.kr/ 의 도메인 안내(RFC문서 및 ICANN과의 계약 관계에 대한 가이드라인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