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main 썸네일형 리스트형 [Twocows 펌] XCP Command via XML Over HTTPS Post « Previous entry: Multicore Musings Next entry: The “Rails Envy” Guys on Django » XCP Commands via XML Over HTTPS POST September 7th, 2007 | Written by Joey deVilla | Jump to comments Filed Under: Client Code, XCP, APIs, Tucows, PHP, Ruby, Domains The Preferred Way After having a discussion with Grant Spradling, our Product Manager for Platypus and Enablers, it was decided that we’d promote the .. 더보기 한글도메인(ex - 테터툴즈.com)을 사용하기 위하여.. ICANN에서는 영문으로된 도메인뿐만 아니라 각 국가별 언어에 맞는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한글도메인 하면 넷피아를 떠올리는 사람들이 있는데 넷피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한글 도메인이 아니라 한글검색어 서비스일 뿐이다. 즉, 한글로된 검색어를 입력하면 넷피아의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해당 검색어를 서버의 아이피로 연결시켜주는 그런 서비스가 되는것이다. 머.. 넷피아도 KT랑 이런저런 일때문에 쫑나면서 더이상 서비스가 안되지만 말이지.. 위에서 말한 한글 도메인은 "테터툴즈.com" 이나 "네이버.net" 과 같이 한글로 이루어진 도메인명과 gTLD를 붙여서 생성하게 되며, 해당 도메인들은 최상위등록기관(Registry)인 Verisign에서 2000년 11월에 한글.kr의 경우에는 KRN.. 더보기 네임서버 호스트 등록에 대하여.. * 네임서버호스트 등록 개략 - 네임서버의 호스트 등록은 도메인을 등록한 업체(Ex : Onlinenic, Tocows 등)를 통하여 등록 할 수 있으며, 도메인 등록 대행자는 이에 대한 정보를 GTLD DNS에 업데이트 하여 최상위 기관에서 조회 할 수 있도록 하게 됩니다. * HOST? - HOST에 대한 의미는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일반적으로 www, mail, ns와 같은 Subdomain을 HOST라고 명명하며, 서버의 의미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도메인을 등록 한 후 등록한 도메인을 이용하여 네임서버를 운영하고자 한다면, 해당 도메인을 도메인 등록업체의 절차에 따라 호스트 등록을 해주어야 합니다. - 여기서 말하는 호스트 등록은 해당 도메인을 네임서버의 주소로 사용하기 위하여, 최상위기관(.. 더보기 [Blog 펌] ICANN과 인터넷거버넌스 동향 ICANN과 인터넷거버넌스 동향 한국인터넷진흥원 대외협력팀장 권 현 준 現 ICANN GAC advisor; 現 ICANN ASO Address Councilor; 現 NRO Number Councilor; 現 APNG Internet History Museum Committee Chair; 한국ITU연구위원회 연구위원 우리의 일상이 정보통신기술과 접목되면서 많은 생활의 변화가 야기되고 있고, 특히 인터넷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인류에게 물과 공기와 같은 필수적인 환경적 요소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인터넷과 관련된 기술과 정책은 지금 이 순간에도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 같은 환경의 변화를 야기하는 배경과 주요 이슈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고 그 변화의 방향을 파악하는 것이 IT 강국으로서의 역량을 강화하.. 더보기 국제도메인 2탄 (참고자료) < IANA - TLD Code List > Index by TLD Code abcdefghijklmnopqrstuvwxyz.ac – Ascension Island .ad – Andorra .ae – United Arab Emirates .af – Afghanistan .ag – Antigua and Barbuda .ai – Anguilla .al – Albania .am – Armenia .an – Netherlands Antilles .ao – Angola .aq – Antarctica .ar – Argentina .as – American Samoa .at – Austria .au – Australia .aw – Aruba .az – Azerbaijan .ax – Aland Islands .ba – Bosnia and Herzegovina ... 더보기 국제 도메인 2탄 - TLD, gTLD, nTLD, ccTLD ? 1탄에서 ICANN이 하는 역활과 그에 대한 내용을 간략하게 확인 하였습니다. 그럼 거기서 나온 TLD라는게 궁금해 질 것입니다. 1탄의 참조에 간략하게 적어놓은것 처럼 최상위 도메인을 나타냅니다. 단순히 최상위 도메인이라고만 알고 넘어가면 너무 간단하겠지만, 최상위 도메인은 다시 2개의 구성으로 쪼갤 수 있습니다. 그에 대한 내용을 아래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최상위 도메인(TLD : Top Level Domain)은 gTLD와 nTLD로 구분됩니다. 일반 최상위 도메인(gTLD : generic Top Level Domain)은 인터넷 초창기 부터 사용되어온 7개의 도메인을 지칭합니다. - com :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이나 회사 - edu : 학위를 수여하는 교육 .. 더보기 국제 도메인 1탄 - ICANN? 도메인 서비스에 대해서 관심을 갖게 되면서 국제도메인을 등록하려면 ICANN에 자격을 갖춘Registrar로 등록되어야 한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그 말들을 들으면서 ICANN이 뭘까 하면서 무의식 중에 한국인터넷진흥원(NIDA)와 비슷한 역활을 하는 국제도메인 등록 최상위 기관이구나 하고 이해하고 넘어갔다. 하지만 이제 이 기관이 무슨 역활을 하는지 짚고 넘어가야 겠다. ICANN = The 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의 약자이다. 영어로는 ICANN (The 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으로 표기한다. 1998년 6월 미국 정부에서 발간한 《인터넷의..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