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ANN에서는 영문으로된 도메인뿐만 아니라 각 국가별 언어에 맞는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한글도메인 하면 넷피아를 떠올리는 사람들이 있는데 넷피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한글 도메인이 아니라 한글검색어 서비스일 뿐이다.
즉, 한글로된 검색어를 입력하면 넷피아의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해당 검색어를 서버의 아이피로 연결시켜주는 그런 서비스가 되는것이다.
머.. 넷피아도 KT랑 이런저런 일때문에 쫑나면서 더이상 서비스가 안되지만 말이지..
위에서 말한 한글 도메인은 "테터툴즈.com" 이나 "네이버.net" 과 같이 한글로 이루어진 도메인명과 gTLD를 붙여서 생성하게 되며, 해당 도메인들은 최상위등록기관(Registry)인 Verisign에서 2000년 11월에 한글.kr의 경우에는 KRNIC(한국 인터넷진흥원) 주관으로 2003년 8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물론 한글 도메인은 다국어 도메인 중의 하나일뿐...
그럼 한글로 등록한 도메인을 해외에서 알아 볼 수 있느냐?
한글 도메인들은 Verisign에서 제공하는 한글 도메인명을 Puny 코드 변경 컴포넌트를 설치하지 않으면, 사용 할 수 없다. 물론 국내에서도 마찬가지로 해당 컴포넌트를 설치해야 한다.
해당 컴포넌트는 아래 주소를 통하여 받을 수 있다.
I-NAV : http://idn.verisign-grs.com/plug-in/index.jsp?src=idnnow
그럼 이와 같은 한글도메인들은 네임서버나 웹서버에 셋팅할때 어떻게 셋팅하여야 하는가?
그냥 한글로 등록하면 되는가?
물론 아니다... 해당 한글 도메인들은 한글도메인명을 Puny 코드로 변경하여 네임서버 및 웹서버에 등록해야 하며, 위에서 이야기 했다시피 실제 도메인을 찾는 주소는 Puny코드이기 때문에 이를 착각하여 한글도메인을 네임서버나 웹서버에 셋팅하면 안되겠다.
Puny코드로 변경하는 방법은 한국 인터넷 진흥원에서 제공하는 웹컨버터와 모듈 프로그램을 구축하여 변경 할 수 있다.
Web : http://han2.nic.or.kr/web_conv/conv_index.html
모듈 : http://domain.nida.or.kr/korean/server_converter.jsp < - 참조
'Dom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Twocows 펌] XCP Command via XML Over HTTPS Post (0) | 2007.11.07 |
---|---|
네임서버 호스트 등록에 대하여.. (0) | 2007.02.15 |
[Blog 펌] ICANN과 인터넷거버넌스 동향 (0) | 2007.02.06 |
국제도메인 2탄 (참고자료) < IANA - TLD Code List > (0) | 2006.05.22 |
국제 도메인 2탄 - TLD, gTLD, nTLD, ccTLD ? (0) | 2006.05.13 |